architect : NOMAL
area : 247.36 ㎡ location : Seodaemun-gu, Seoul type : Renovation program : Commercial / Hospitality construction : Woorimaeul A&C photo : Roh Kyung
DIAGRAM
CRACKER
This building in Sinchon was originally constructed in
1966, during a time when Seoul was undergoing rapid urban transformation. It
began as a modest two-story structure but was gradually expanded without proper
planning. A third floor of masonry and a fourth floor of lightweight steel were
added over time, creating serious structural instability. Several columns were
even found to extend beyond the site boundary.
While rebuilding would have
been structurally simpler, local zoning regulations and parking requirements
made renovation the only viable option. The project became an exercise in
careful reinforcement and reorganization. The original foundations were
strengthened, upper floors rebuilt, and the footprint adjusted to meet legal
and spatial constraints.
Beyond these technical
efforts, the project also sought to reconnect the building with its
surroundings. Sinchon was once known for its vibrant youth culture, live music,
and small creative businesses. In recent decades, this character has faded as
independent spaces gave way to large franchises and generic developments. The
client hoped to contribute to restoring some of Sinchon’s lost identity.
The new layout reorganized
the building’s three bays into two indoor volumes and a vertical circulation
core. A perforated brick façade provides privacy while bringing in natural
light, and its pixelated pattern draws inspiration from digital music
visualizers. It serves as a subtle reference to Sinchon’s musical heritage.
This project isn’t just about
repairing a deteriorated structure. It reflects an attempt to reframe memory
and place, using architecture to support cultural continuity in a changing
urban landscape.
1966년 신촌에 설립된 이 건축물은 서울의 급격한 도시화 시기에 건립되었다. 당시 한강 일대는 아직 허허벌판이었으며, 서울시는 ‘돌격 건설‘ 구호 아래 도시 경관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었다. 원래 2층 규모로 지어진 이 건물은 이후 3층(조적조)과 4층(경량 철골조)이 무계획적으로 증축되어 심각한 구조적 불안정성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8개 기둥 중 4개는 대지 경계를 넘어서 있어 추가적인 문제를 야기했다.
구조적·시공적으로는 신축이 효율적이었으나, 현대 건축법상 용적률과 용도 제한, 주차장 확보 문제로 대수선이 불가피했다. 주요 과제는 기존 기초의 구조적 보강, 대지 경계를 넘은 기둥 재배치, 구조적으로 취약한 상층부 해체 및 재구성, 공사 중 안전성 확보였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 해결과 함께 신촌의 역사성과 문화적 맥락을 반영하는 공간으로 재탄생시키고자 했다.
1970-90년대 신촌은 대학가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가와 사회운동가들의 거점이었으나, 1991년 락카페들에 대한 단속 강화와 2000년대 젠트리피케이션으로 문화적 정체성이 약화되었다. 개성 있는 소규모 가게와 문화 공간은 사라지고, 대형 프랜차이즈와 복합 상업시설이 들어섰으며, 예술가들은 홍대로 이동했다. 건축주는 이러한 변화를 목격하며 이 건물이 신촌의 문화적 활력을 되찾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했다.
기존 건물의 3개 베이(bay) 중 2개는 실내 공간으로, 1개는 수직 동선(엘리베이터와 계단실)으로 재구성했다. 타공 벽돌을 활용한 입면 디자인은 인접 건물과의 시각적 간섭과 채광 확보라는 상충된 요구를 해결하고, 음악 비주얼라이저의 패턴을 모티브로 한 타공 패턴은 신촌의 음악적 정체성을 시각화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낡은 건축물 정비를 넘어, 신촌의 문화적 유산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도시 재생의 시작점이 되고자 하는 시도였다.